■memo/임시4 Fixotronic 유튜버 동영상 2020. 1. 20. "한글 뿌리는 몽골 파스파문자..한자음 표기 위해 제정" 2016년 9월 29일 신문기사 타이틀. 기사에 도움이 될 만한 참고 사진 등은 하나도 없고, 기사내용도 읽어보지 않아, 내용은 파악이 안되지만, 기사 제목만 보고 흥미를 느껴 일단 캡쳐해 두었다. 몽골을 가 본 적은 없지만, 가끔 몽골 사람들의 대화를 들어보면 억양이나, 발음 등, 마치 우리나라 말을 하는 것 같이 들려 신기하기도 하고, 친근하기도 한 한편, 몽골어와 우리나라말과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궁금해하면서도 그냥 지나친 기억이 난다. 위키페디아(wikipedia) 글을 읽어보면, Gari Ledyard(1932~ )라는 콜롬비아 대학(Columbia University)의 한국학(Korean History) 전공 명예교수가 자신의 논문()에서 한글과 파스파문자와의 관계성에 대해서 말했다고 한다... 2016. 9. 29. 뉴욕근대미술관 MoMA 타니구치요시오(谷口吉生) 토요타시미술관 토요타시미술관(wiki) 뉴욕근대미술관 신관(2004)(wiki) 마루가메시 이노쿠마겐이치로 현대미술관(MIMOCA)(1991)(wiki) 도쿄국립박물관 호류지 보물관(1999) 등등 2016. 2. 25. 옴진리교 종교시설 - 사티암 Satyam サティアン 원 : 산크리스트교어 "진리" 나중에 읽어보기. 출처 : 전후 일본문화와 건축의장과의 상관관계 연구(森川嘉一郎) Discourses on Satyam 이하의 글은 "사티암 론"(「サティアン論」)의 제1장의 전재로서, 일본건축학회"건축연보1996"에 투고(森川嘉一郎)한 "옴진리교가 던진 파문"에 작자(森川嘉一郎)가 가필,수정을 가한 것이다. サティアンをめぐる言説一九九五年の三月から五月にかけて、地下鉄サリン事件等の捜査にともない、オウム真理教の数々の施設がテレビを中心とする映像メディアによって連日映し出された。山梨県上九一色村に展開する第一から第十二の「サティアン」、同じく山梨県の富沢町の「富士清流精舎」、静岡県富士宮市の富士山総本部、熊本県波野村の施設群などである。それらはデザインがほとんど施されず、工場や倉庫に近い外観を呈していたという点にお.. 2016. 2. 2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