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5.15 - [■UR주택단지/1990~] - 타마 뉴타운 (미나미오사와지구) (多摩ニュータウン(多摩NT南大沢), Tama New Town Minamiosawa)(2)
타마 뉴타운 (미나미오사와지구) (多摩ニュータウン(多摩NT南大沢), Tama New Town Minamiosawa)(2)
2016.05.15 - [■UR주택단지/1990~] - 타마 뉴타운 (미나미오사와지구) (多摩ニュータウン(多摩NT南大沢), Tama New Town Minamiosawa)(1) 타마 뉴타운 (미나미오사와지구) (多摩ニュータウン(多摩NT南大沢), Tama
protocooperation.tistory.com
2016.10.31 - [■UR주택단지/1980~] - 연도형 주택이 만드는 도시가로경관 - 프롬나드 타마중앙(Promenade Tama Chyuo),1987
타마 뉴타운 (多摩ニュータウン) |
60년대 이후 급격하게 발전하기 시작한 일본 고도경제성장기, 수도권에로의 인구집중과 그에 따른 심각한 주택난, 지가앙등, 택지부족 및 스프롤 현상에 의한 난개발 등의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1965년 12월 도쿄도의 이나기시(稲城市), 타마시(多摩市), 하치오우지시(八王子市), 마치다시(町田市)에 걸쳐있는 타마 구릉지에 계획개발이 결정된 일본 최대 규모의 뉴타운.
동서 약15km, 남북으로 약5km에 이르는 총면적 2,880ha, 거주인구 28만명을 목표로 계획되었다. 케이오사가미하라선(京王相模原線)의 주요역 (그 중에서도 제일 중심이 되는 역은 타마센터역(多摩センター駅) ). 타마사카이역(多摩境駅), 미나미오사와역, 케이오타마센터역 등 주요역을 중심으로 상업시설 등 주요시설을 배치하여, 계획적인 녹지공간의 배치 및 타마구릉의 지형적 조건을 이용한 각 주택지를 계획하여 보행자전용도로(pedestrian deck)로 이어주며, 기본적으로 보차분리가 가능케하는 등, '정주(定住)'기능을 메인으로 교육, 문화, 업무, 상업 기능을 충족시키는 활기있는 도시시가지 형성을 목표로 하였다.( 토지에 대한 애착이 강했던 원주민들의 반대에 의해 일부는 토지구획정리사업 등에 의해 정비되어 당초의 근린주구이론, 보차분리, 보행자전용도로 등의 계획의도가 어정쩡하게 실현되지 않은 부분도 없지 않으나, 오히려 인공에 의한 완벽한 계획이 아닌 의도치 않은 가로형성이 의외성등 가로의 자유도를 높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왔다는 평가도 있다. )
구분 | 신주택지가지개발사업 | 토지구획정리사업 | 계 |
타마뉴타운 | 2217.4ha | 666.5ha | 2883.9ha |
타마뉴타운의 당초 계획은 주택의 대량공급이 최우선시 되었으나, 경제여건 등 사회적 제반조건들의 변화와 함께 주택공급 우선정책은 쾌적한 주거환경과 양질의 주택공급으로 방향이 전환되었다.
주동 및 외부공간 디자인 등 각각 주택지 계획은, 90년대 당시 마쿠하리(幕張) 뉴타운과 함께 우리나라 건축학과 학생, 교수 등 전문가, 도시계획 실무진 등 건축관련 종사자들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많은 화제가 되었다.
2016.05.15 - [■UR주택단지/1990~] - 마쿠하리 베이타운 팜플렛 등
마쿠하리 베이타운 팜플렛 등
パティオス1番街 設計/三菱地所+竹中工務店 施工/竹中・奥村・新日鉄JV パティオス2番街 설계/UG都市建築+GL建築設計+フェイズアソシエイツ+フジタ 시공/フジタ パティオス3番街
protocooperation.tistory.com
년월 | 내용 |
1963년 7월 | 신주택시가지개발법 공표 및 시행 |
1963년 11월 | 미나미타마지역 도시계획구역 결정 |
1964년 5월 | 타마신도시개발계획 기본방침 결정 |
1964년 7월 | 타마뉴타운에 관한 용도지역, 가로계획 결정고시 |
1965년 12월 | 타마뉴타운 신주택시가지개발사업 도시계획 결정 |
1966년 10월 | 사가미하라선(相模原線) 건설공사 착수 |
1966년 12월 | 타마뉴타운 사업결정, 토지구획정리사업구역 결정 |
1969년 6월 | 기공식 |
1971년 3월 | 타마시 스와(諏訪)・나가야마(永山) 지구 입주시작 |
1971년 4월 | 케이오타마가와역(京王多摩川駅) ~ 케이오요미우리랜드역(京王よみうりランド駅) 개통 |
1971년 7월 | 유기토지구획정리사업(由木土地区画整理事業) 도시계획 결정 |
1972년 10월 | 케이오요미우리랜드역(京王よみうりランド駅) ~ 케이오타마센터역(京王多摩センター駅) 건설공사 착수 |
1974년 10월 | 케이오요미우리랜드역 ~ 케이오타마센터역 개통 |
1976년 3월 | 카시마(鹿島)・마츠가야(松が谷) 지구 입주시작 |
1982년 12월 | 케이오타마센터역 ~ 하시모토역 건설공사 착수 |
1983년 3월 | 미나미오사와(南大沢) 지구 입주시작 |
1988년 5월 | 케이오타마센터역 ~ 미나미오사와역 개통 |
1990년 3월 | 미나미오사와역 ~ 하시모토역 개통 |
1990년 3월 | 벳쇼(別所1丁目)지구 입주시작 |
1991년 4월 | 타마사카이역(多摩堺駅) 개통 / 도쿄도립대학(東京都立大核) 이전 개교 |
2000년 1월 | 타마도시모노레일 타마센터역까지 개통 |
2004년 3월 | 도쿄도의 공적인 개발사업 종료 |
2006년 3월 | UR의 공적인 개발사업을 종료. 미개발용지는 매각, 민간개발을 유도. 민간사업체에 매각된 택지에는 고층 맨션들이 개발되어, 당초 의도했던 중저층 주택 중심의 가로경관이 변질되기도 함. |
2012년 8월 | 쵸후역(調布駅) ~ 케이오타마가와역(京王多摩川駅) 지하화 (사가미하라선 전구간에 걸쳐 건널목이 없어짐.) |
2022년 현재 타마뉴타운의 인구는 22.3만명에 이르렀으나, 2015년 22.4만명을 피크로 큰 변화는 없는 상태이다. 2023년 타마뉴타운 전체의 고령화율은 27%로, 2050년경에는 7%정도의 인구감소 및 고령화율은 35% 정도에 이를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동시기에 공급되어진 건물들이 거의 동시에 노후화가 진행되어진 주택재고(타마 뉴타운 단지내 건물의 약35%가 1981년 이전에 입주)는 민간분양의 경우 입주자 주도에 의한 재건축, 도영주택(都営住宅)의 재건축이나 고령자 세대에 맞는 이주지원, UR 임대주택의 '단지의 복지 거점화' 로서 고령자 세대가 거주하기 편리한(배리어 프리 barrier-free) 주거 단지 환경정비 사업등이 진행되고 있다.
2018년에는 리니어신칸센개통 스케쥴에 맞춘 '타마이노베이션 교류존', '타마뉴타운 지역재생가이드라인'을 공표, 노후화된 제반시설, 미나미오사와역 부근의 미개발지, 교통망 재편을 목적으로한 재개발 계획을 수립하였다.
◆ 미나미오사와 중심 항공사진 국토교통성 국토지리원 항공사진 (国土交通省 国土地理院 地図・空中写真観覧サービス)
단지명 | 타마뉴타운 미나미 오오사와지구 ( 多摩ニュータウン南大沢地区) |
타마 뉴타운 전체를 답사하기엔 시간도 정보도 턱없이 부족하였던 관계로, 필자가 답사했던 지역도 우리나라에서 화제가 되었었던 미나미오사와지구 중 미나미오사와역 (南大沢駅) 주변의 극히 일부 주택지만을 잠깐 돌아보는 맛보기 식에 그쳤다.
미나미오사와지구만 한정하더라도 며칠을 답사해도 부족할 정도지만, 관련 관공서나 단체에 공식적으로 견학신청을 하지않은 개인적인 답사였기에 미나미오사와 지구의 단지 체계나 계획의도 등 뿐만 아니라, 단지내부 주택실내공간을 살펴볼 기회 조차 없었으며, 외부공간도 듬성듬성 겨우 몇시간 동안 잠깐 둘러본 정도였다.
준공당시의 화제와는 달리 여러가지 불상사로 미나미오사와 지구는 근래에는 별로 언급되지 않고있다.
참고로 벨코리누(Bellecolline)는 <아름다운 언덕(美しい丘)라는 의미의 프랑스어>
UR 도시기구(都市機構) 홈페이지 : https://www.ur-net.go.jp/chintai/muji/20_434.html
맨션 최악의 결함주택 벨코리누 미나미오사와 관련 사카키 아츠시(榊淳司、본명 : 千原俊彦) 개인 홈페이지 :
http://www.sakakiatsushi.com/?p=9059
예전 일본 뉴스 프로그램 코멘트에서 결함시공 문제는 둘째치고, 경사지 많은 곳에 지은 집합주택의 풍광이 건축 계획학적으로 처음엔 좋아 보였으나, 고령화 사회가 진행됨에 따라 거주민 구성 연령이 도보로는 이동이 불편한 고령자 위주로 되다 보니까 무시못할 문제가 되고 있다는 말을 들었다.
그렇다고 젊은 세대입주를 유치한다고 고령자의 보행편리성이 높아지는 것도 아니고 주택유형이 무엇이 됐든(개인적으로 어린이와 노인있는 세대는 절대로 고층아파트에 거주하면 안된다는 입장이지만..) 주택단지를 설계하든 쇼핑몰을 설계하든, 신체건강한 이용자의 입장에서만 보지말고, 누구보다도 약자를 우선시하고 장기적 사회적 변화를 시야에 둔 안목으로 설계하지 않으면 그 댓가는 적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곳이다.
건축가는 비례가 어떻다 이렇게 하는게 더 재밌지 않느냐 하며 눈에 띄는 조형물만 만들려고 욕심이 앞서고, 클라이언트는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한의 이익만을 남기려는데만 관심이 있고, 결국 건축(특히 주택은 더)은 사유재산이지만 공공재라는 인식으로 학계 교육계나 행정측은 완벽하지는 않더라도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필요한 규제를 하고 심사를 하고 심도깊은 연구를 해야 할 책임과 의무가 있는데, 과연 그 역할을 다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UR주택단지 > 2000~'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노노메 캐널 코트(東雲キャナルコート) CODAN 311동일본지진 피해조사 3차답사 (0) | 2016.10.06 |
---|---|
시노노메 캐널 코트 CODAN, Various, 2003~2005 2차답사 (0) | 2016.05.19 |
타마 뉴타운 (미나미오사와지구) (多摩ニュータウン(多摩NT南大沢), Tama New Town Minamiosawa)(2) (0) | 2016.05.15 |
시노노메 캐널 코트 CODAN (1) (0) | 2016.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