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현대 일본 건축 (주택외)/상업시설

오모테산도힐즈(表参道ヒルズ, Omotesando Hills),안도타다오(安藤忠雄)(1)

by protocooperation 2016. 6. 24.
반응형

 

오모테산도 힐즈 로고를 연상케하는 인근 메이지신궁의 오오토리이(南参道)

 

그리고 로고 밑부분의 갈지(之)자를 연상케하는 오모테산도(表参道)와 경내, 미나미산도(南参道)를 잇는 하라주쿠역(原宿駅) 부근의 진구바시(神宮橋)

 

 

2016/06/19 - [일본건축(주택외)/기타] - 도쿄전역은 세계문화유산 - 메이지신궁 도시 녹지축

 2016/06/26 - [일본건축(주택외)/상업시설] - 재건축과 보존 - 오모테산도힐즈(Omotesando Hills), 안도타다오(安藤忠雄) (2)

 2016/06/26 - [일본건축(주택외)/상업시설] - 도시의 기억 - 오모테산도힐즈(Omotesando Hills), 안도타다오(安藤忠雄) (3)

   
작품명 도쥰카이 아오야마 아파트 재건축 - 오모테산도 힐즈(同潤会青山アパート建替計画-表参道ヒルズ,
Omotesando Hills)
주요용도 점포, 공동주택, 주차장, 공중화장실
소재지 東京都渋谷区神宮前4-12-10 (Tokyoto Sibuyaku Jingumae4-12-10)
설계 安藤忠雄(안도 타다오) / 森ビル設計共同企業体(모리빌딩)
준공 2006..01.
규모 지상6층 지하6층(216대)
시공 大林組
부지면적 6051.36㎡
건축면적 5030.76㎡
연면적 34061.72㎡
구조 SRC, RC, S조, 중간층면진구조(中間層免震構造) 
건폐율 83.13% (96.98%)
용적율 454.41% (454.72%)
주요외장 지붕 : 옥상 - アスファルト防水(外断熱)、シリンダーコンクリート、一部玉砂利洗い出し仕上げ、一部屋上植栽(人工土壌・低木・高木)
외벽: 化粧型枠コンクリート打放し、フッ素樹脂塗装、アルミカーテンウォール電解発色(硬質アルマイト・グレー色)、LED照明

재생건물부-コンクリート下地モルタル掻き落し仕上げ
주택부측벽-GRC、フッ素樹脂塗装
개구부 - 점포입구 : ステンレスサッシヘアライン仕上げ
             점포개구부 : アルミサッシ電解発色(硬質アルマイト・グレー色)
             점포공용부 보이드 탑라이트 : アルミサッシ電解発色(硬質アルマイト・グレー色)、複層ガラス(高遮蔽性能熱線反射ガラス)
             주택개구부 : アルミサッシ(欄間:アルミガラリ)電解着色(アッシュグレー)、複層ガラス
외부시설 : 花崗岩JB仕上げ模様貼り(表参道歩道に準ずる)
              소수부(疎水部) - 玉砂利洗い出し仕上げ
              북측보도 - インターロッキング舗装   
지역지구 상업지역, 제2종교육지구(文教地区), 방화지역(일부 제1종중고층주거전용지역, 제1종교육지구, 방화지역), 도쿄도도시계획고도이용지구(진구마에4쵸메지구)

 

■■■Concept
 

 

오모테산도 힐즈(表参道ヒルズ,Omotesando Hills)

전면도로인 오모테산도(表参道)의 경관과 환경과의 조화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한 결과, 건축가 안도타다오(安藤忠雄)에게 설계를 의뢰, 일본의 패션, 문화의 중심지로서 최신의 트렌드를 발신해 온 오모테산도에 계획된 문화상업시설. 지하공간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지상의 건물 본체의 높이를 오모테산도의 느티나무 가로수와 어울리도록 가능한한 억제하는 동시에 옥상녹화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울창한 오모토테산도 가로수 풍경과 어울리는 도시경관이 탄생하였다.

또한, 시민들의 기억에 남아있는 경관의 모습을 다음 세대에게 이어지게 하고 싶다는 바램으로 구(舊)도쥰카이 아오야마 아파트(

旧同潤会青山アパート)를 「도쥰칸(同潤館)」으로서 재생하였으며, 빗물을 이용한 "수로(疎水)"를 만들어 환경에의 배려 등, 거리의 역사와 문화를 소중히 가꾸어나가면서 시민들의 사랑을 받을 수 있도록 세심한 고려를 하였다. 

폭412mm 전장270m 수로

 

전관 중 상업 공간은, 서관(西館)(지하2층~지상2층), 본관(지하3층~지상3층), 도쥰칸(同潤館)(지상1층~3층)의 세 건물에 위치하며, 본관 지하4층에는 주차장이 위치해있다. 본관 중앙의 6층(지하3층 ~지상3층) 높이의 보이드 공간과 보이드 공간(吹抜け空間)을 나선 모양으로 둘러싼 총 길이 700m에 이르는 "스파이럴 슬로프(スパイラルスロープ)"는 오모테산도 언덕과 거의 같은 구배로서 "제2의 오모테산도(第二の表参道)"로도 불리운다.

보이드 공간의 중앙(지하1층~지하3층)의 대계단

보이드 공간의 중앙(지하1층~지하3층)의 대계단과, 대계단과 이어지는 지하3층에는 약 500㎡ 넓이의 다목적 스페이스가 배치되어있어 다양한 이벤트장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 개발경위
 

도쥰카이 아오야마 아파트(同潤会青山アパート)

 

오모테산도힐즈 계획의 축이 되는 도쥰카이 아오야마 아파트(同潤会青山アパート)는 일본의 집합주택 역사의 원점으로, 건물이 완성된 1927년 부터 오모테산도의 랜드마크로서의 역할을 해왔다.

건물의 노후화 등에 의한 재건축에 관한 논의는 쇼와40년대(1960~70년대)부터 시작되어, 1995년에 발생하였던 한신대지진(阪神淡路大震災) 이후 좀 더 구체적인 사업검토가 시작되었다. 

이윽고 2002년에는 조합이 설립되고, 200년에 착공, 2006년에 준공을 맞이하였다.

  • 1968년    도쥰카이 아오야마 아파트(同潤会青山アパート) 재건축 논의 시작.
  • 1998년    안도타다오에게 설계를 의뢰.
  • 1998년    도쿄도(東京都) 택지(底地) 불하(拂下).
  • 2001년    진구마에4쵸메지구(神宮前四丁目地区) 시가지재개발준비조합 설립.
  • 2002년    진구마에4쵸메지구 제1종 시가지개발사업에 관한 도시계획 결정.
  • 2002년    진구마에4쵸메지구 시가지재개발 조합설립.
  • 2003년    진구마에4쵸메지구 제1종 시가지재개발사업에 관한 권리변환계획 인가. 
  • 2003년    착공.
  • 2006년    준공.

 

■■■ 신기술
 

■ 메디아 쉽(Media Ship) : 

외벽에 설치된 길이 250m의 LED 「브라이트업 월(ブライトアップウォール, bright up wall)」, LED 무빙 라이트, 대화면 디스플레이 등, 빛과 소리에 의한 다채로운 연출을 가능케하는 장치 및 기술을 전관에 설치하였다.

 

■ 환경 :  

빗물을 이용한 수로의 정비.

옥상정원(부지면적에 대한 녹화율(緑被率) 30%).

벽면녹화.

 

■ 문화 :

도쥰카이 아파트에서 사용되었던 벽, 계단, 난간 등의 재생.

 

■ 안전 :

대지진 등에도 건물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중간면진(中間免震)을 채용.

긴급 재난시에는 재해용 우물에서 1일 약40톤의 물공급이 가능. 

大林組。中間階免震(4F床下) 천연고무계적층고무(天然ゴム系積層ゴム)20대, 점성댐퍼(粘性ダンパー)16대

 

참고 : 모리빌딩 오모테산도힐즈

 




도쥰카이 아오야마 아파트(同潤会青山アパート)

오모테산도 힐즈 위치에 있었던 공동주택(2003년 해체)

 

재단법인 도쥰카이(同潤会)가 계획 건설하여, 1926년에 제1기, 2917년에 제2기가 준공됐다.
 준공 당시의 주소는 토요타마군 센다가야마치 오오아자온덴아자아카바네(豊多摩郡千駄ヶ谷町大字穏田字赤羽).

 

개인소유가 된 아파트는 1960년대 이후 하라주쿠, 오모테산도 지역이 패션 중심지로 발전됨에 따라 부티크나 갤러리, 유니크한 상 점 등으로 리노베이션되기도 하였다.

에도시대 부지 서측의 시부야구립 진구마에 초등학교(渋谷区立神宮前小学校)에서 현재의 진구마에5쵸메에 이르는 부지는 히로시마번 아사노가(広島藩・浅野家)의 별저(下屋敷)였던 토지를 1925년에 후작 아사노 나가고토(浅野長勲)가 매수, 1927년 입주모집을 하였다.
 6,080㎡의 부지에 3층 높이의 철근 콘크리트조 주동 10동으로 구성된  도쥰카이 아오야마 아파트는 완성당시에는 군인, 공무원, 대학교수 등 만이 입주가 가능한 고급아파트였으며, 오모테산도 지역의 새로운 명물로서 관광 버스도 머무를 정도의 화젯거리였다.
 한편 2차대전 말기 1945년 5월, 미군에 의한 도쿄대공습(東京大空襲)에 의해 아오야마(青山), 하라주쿠(原宿), 오모테산도(表参道) 일대도 막대한 피해를 받아 다수의 희생자 및 폐허가 되었으나, 내진내화구조로 건설되었던 도쥰카이 아오야마 아파트는 전화 중에도 무사하여, 공습 피해자들의 주거로서 임대되었고, 부지 내 광장에 있었던 우물도 외부인들에게 생활용수로서 개방되기도 하였다.
 또한 공습으로 인해 대부분의 건물 및 수목들이 화재 등으로 소실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도쥰카이 아오야마 아파트 앞의 오모테산도 가로수는 피해를 입지않아, "도시의 방화벽"으로서의 기능도 고려되어 건설된 아파트로서의 성능이 증명되기도 하였다.
 종전후, 도쥰카이 아오야마 아파트는 지금까지의 소유 및 관리자였던 도쥰카이(同潤会)에서 도쿄도(東京都)로 이전되었으며, 1950년에는 각 주민들에게 불하되었다. 

아오야마 아파트의 용도변경(表参道周辺と同潤会青山アパート住戸の商業化プロセスに関する考察. 2002년 일본건축학회 관동지부 연구보고서 중에서)
도쥰카이 아파트 주호공간의 변용을 나타내는 그림( 同潤会青山アパートにおける住空間の変容に関する研究 : 同潤会青山アパートの変容及び商業化に関して その1, 일본건축학회 학술강연개요집2003 중에서 )

 

각계 전문가가 됴쿄 도지사 및 모리빌딩에게 보낸 <도쥰카이 아오야마 아파트 보존 활용에 관한 요망서>

한편, 건물 및 설비 등의 노후화가 진행되어, 거주민들 사이에서는 점차적으로 재건축을 희망하는 의견이 많아져, 건축계 등 건물의 역사성, 상징성 등 보존을 주장하는 소리도 만만치 않았으나, 결국 2003년 재건축을 위해서 해체되었으며, 건축가 안도 타다오(安藤忠雄)의 설계에 의해 2006년 복합시설 오모테산도 힐즈(表参道ヒルズ)가 준공, 동측에는 도쥰카이 아오야마 아파트의 건자재 등을 재이용해서 복원된 도쥰카이(同潤館)가 설치되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