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본예능

좋아하는 남성 앞에서 행하는 여성의 행동 - 혼마뎃카TV(ホンマでっか!?TV)

by protocooperation 2016. 8. 21.
반응형

혼마뎃카TV(ホンマでっか!?TV)를 진행하는 아카시야 산마(明石家さんま)상과 후지TV 인기 아나운서 카토 아야코(加藤綾子) / 후지TV

  

◆ 오늘의 주제 ◆ 

심리학자 우에키(植木) 선생이 말하는 "좋아하는 남성 앞에서 무의식적으로 행하는 여성의 행동"

 

개인적인 감상부터 말하자면 초등학교 때 좋아하는 여학생 앞에서 하는 행동, 청소년기 때의 행동, 어른이 되고나서의 행동들이 모두 다르듯이 우에키선생이 말하는 행동도 해석하기 나름인 것 같다.

남자인 입장에서 시청한 결과, 우에키 선생의 설명대로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 앞에서 취하는 행동으로 해석해도 수긍이 갔다.

 

비전공 분야지만 심리학 등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주제 및 가설설정과 검증 방법등, 타분야의 논문을 참고하는 것도 건축관련 논문을 작성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듯 싶다는 생각을 했다.

 

좋아하는 남성 앞에서 무의식적으로 행하는 여성의 행동 랭킹5.

▶ 조사방법 : 

남성과 여성을 서로 대화를 나누게 한 후, 나중에 대화상대 중에 호감을 가진 상대가 누구인지, 어느정도의 호의를 가졌었는지 앙케이트 조사. 그리고 호감을 가지게 된 상대에게 취한 행동이 어떤 것이었나를 찍어 놓았던 비디오로 관찰 조사 결과, 호감도와 상관관계가 높았던 순위별 행동. ( 각 행동 항목은 남성이 호감을 가지는 여성에게 취하는 행동으로 해석해도 무관하다고)

 

무의식적으로 행하는 행동 5위 - 좋아하는 이성의 정면에 앉는 것을 주저함.

심리학자 우에키 (植木)  선생

조사 결과에 대한 산마(明石家さんま)상의 코멘트 : "평상시 내 앞에 앉지 않는 것을 보고 내가 싫은가하고 생각했지만 반대였구나!" 

우에키(植木理恵) : " 남성을 앉힌 다음에 여성에게 자유롭게 앉게 한 결과, 정면에 앉았던 여성들에게 나중에 물어보니 '앞에 앉았던 남성에 대해서 전혀 의식하지 못했다.'라고 답변"

 

"보통 호의를 가지면 '이성의 비스듬한 위치나 떨어진 곳에 앉는 것이 상대방에 대해서 의식했다'라고 나옴."

 

이소노(磯野貴理子) : "의식하고 있는 남자의 정면에 앉게 되면, 역시 마음 속으로 '앗! 정면에?' 하면서 오히려 주저하게 되는 것 같다"고 동의. 

우에키 : "남성이든 여성이든 연애감정을 가지게 되면, 상대방에 대해서 '내 것으로 하겠다'라는 심리보다는 '실패회피경향(실패하고 싶지 않기 때문에 약간 거리를 둠)'이 더 강하게 작용하게 되어 약간 떨어진 위치에 앉게되는 심리가 발동하기 쉬움"

 

 무의식적으로 행하는 행동 4위 - 상대방이 아무 말도 안해도 기본적으로 미소를 띄고 있슴.

우에키 : "관찰 비디오를 실제로 봤지만, 예를들어 그룹미팅 같은 곳에서, 관심있는 이성이 대단한 이야기를 하고 있지 않아도 내용에 관계없이 자연스럽게 입꼬리가 올라가 웃음을 띠고 있었음. " 

 

 무의식적으로 행하는 행동 3위 - 일반론이 아닌 "나라면..","내 경우엔.." 등, 개인적인 견해를 말하고 싶어함.

이소노(磯野貴理子)

우에키 : "예를들어, 뉴스 등에서 나오는 시사 뉴스 등에 대해서 대화할 때, 그에 대한 자신의 감정도 섞어서 말하는 여성은 상대방에 대한 호의도가 높았음."

이소노: "하지만 말할 때마다 '나는..', '내 경우엔..'해 버리면, 좀 자기 중심적인 사람처럼 보여져서 오히려 역효과가 나지는 않는지요?"

 

 우에키: " '내 경우엔..' '나는..'하고 말하면, 상대방도 '내 경우엔..'하고 말해주기를 기대하는 의식이 강함.  즉, 첫 대면에서 자신을 주어(主語)로 해서 말해주는 사람은 상대방에 대해서 의식하고 있다고 받아들여도 OK."

 

 무의식적으로 행하는 행동 2위 - 한참 열중해서 떠들다가, 갑자기 " 아, 미안" 하고 자기부정.

산마상 : "자기 부정하는 건 좀 알 것 같기도..한 참 동안 언제 어디서 뭘하고 이러쿵 저러쿵 얘기하다가 갑자기 "아, 미안 내 얘기만 해서.."하는 것과 같지요?"

우에키 : "네. 그런 것을 심리학에서는 「인지(認知)」 와「메타인지(meta認知)」의 왕복이라고 합니다. 인지란 현재 내가 인식하면서 한참 떠들고 있는 것. 메타인지는 얘기하면서 얘기하고 있는 자신과 떨어져서 자신을 보는 것. 즉, 자신의 행동을 객관시하는 것이며. 바꿔말하면 좋아하는 상대방에 대해서 자신의 행동을 재검토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슴."

 

 

▶▶ 무의식적으로 행하는 행동 1위 - 질문하기를 좋아함.

우에키 : "1위는 조사결과 어느 나라든 공통적인 특징이며, 특히 여성에게 많이 보여지는 특징입니다. 남성의 경우에는 상대방이 좋아지면 상대방이 자신에 대해서 많이 알아주기를 바라게 되며, 반면에 여성은 좋아하는 상대방에 대해서 더 많은 것을 알고 싶어합니다." 

" 바꿔 생각하면, 상대방에 대해서 호의가 없을 경우에는 아무것도 질문하지 않는다고 해석해도 무방하고, 예를들어 '주말에 뭐했어?'라고 물어봤는데, '공원에 갔었다'라고 대답만 하고 '너는 뭐했는데?'라고 덧붙여서 질문해주지 않는 경우에는 이 사람은 자신에게 관심이 없다는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해도 무방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