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명 | 테즈카야마 타워 플라자 (帝塚山タワープラザ, Tezukayama Tower Plaza) |
주요용도 | 점포, 타운하우스 |
소재지 | 오사카시 스미요시구 테즈카야마 (大阪府大阪市住吉区帝塚山, Osakafu Osakashi Sumiyosiku Tezukayama) |
설계 | 安藤忠雄(안도 타다오) |
준공 | 1976.9. |
주요구조 | RC |
시공(건축) | 熊田工務店 |
규모 | 지상3층, 지하1층 ( 주호 4, 점포 6) |
부지면적 | 376㎡ |
건축면적 | 161㎡ |
연면적 | 754㎡ |
건폐율 | % |
용적율 | % |
지역지구 | |
주요외장 | コンクリート打放しシリコン吹付 |
1976년에 계획된 군도형(群島型) 소규모 도시 건축의 선구적인 예.
고밀도(高密度)의 도시 주택지 소규모의 부지 내에서 건물의 볼륨을 분절하여 배치하여, 채광, 독립성 확보 등 도시 주택으로서의 내부 성능을 확보하는 동시에, 로지(路地≒골목길), 중정(中庭)과 같은 도시 생활에서 있어서 외부공간의 중요성을 재인식시키는 대표적인 도시형 주택 유형 중의 하나.
테즈카야마 타워 플라자(手塚山タワープラザ)의 경우, 독립한 네 개의 동일한 모습&볼륨의 주동은 동서남북 규칙적으로 부지 내에 배치되어 외부 브릿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비대칭적으로 각 주동을 잇는 브릿지는 외부공간의 정적인 분위기 안에서 긴장감을 유발시키고 있다.
네 개로 나뉘어진 주동은 주변에 계획된 건물 볼륨들과는 그 스케일이 다르다는 것을 의식적으로 주장하고 있다.
지하 1층과 1층 부분은 상업시설, 2층과 3층은 메조넷 형식의 주호로 되어있는 주상복합.
개발 면적, 수법 등에 차이는 있지만, 마키 후미히코(槇文彦)의 힐사이드 테라스 하우스(ヒルサイドテラスハウス) 연작과 같은 군도형 도시형 주택 계획수법은, 테즈카야마 타워 플라자에서 그 근본 정신이 이어지고, 훗날 이즈미 코우스케(泉幸甫)의 아파트멘트 쥰(アパートメント鶉), 사카모토 카즈나리(坂本一成)의 에고타 하우스(江古田ハウス), 니시야마 류에(西山立衛)의 모리야마 주택(森山邸) 등, 21세기 일본 도시주택 계획수법으로서 꽃을 피우게 되는 것이 아닌가 라고 생각된다.
물론 군도형 도시건축의 이론은 레온 클리에(Leon Krier)의 인슐라 테겔리언시스(Insula Tegeliensis)론(論), 포잠박(Christian de Portzamparc)의 오픈 블럭(open block)론(論) 등, 60년대 이후, 동서양을 불문하고 일어난 근대주의 건축이론에 대한 건축가, 도시계획가 들의 반성의 대안 중의 하나였지만, 21세기의 지금은 일본 도시건축의 특징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평가하고 싶다.
힐사이드 테라스(ヒルサイドテラス,Hillside Terrace), 마키 후미히코(槇文彦), 1969~1998 1차답사(1)
작품명힐사이드 테라스(ヒルサイドテラス,Hillside Terrace)주요용도주택, 점포, 주차장 등소재지도쿄도 시부애구 사루가쿠(東京都渋谷区猿楽町, Tokyoto Shibuyaku Sarugakucho)설계마키 후미히코(槇文彦)
protocooperation.tistory.com
집락 마을과 같은 군도형 저층집합주택 Apartment 쥰(Apartment 鶉, JUN), 이즈미 코우스케(泉幸甫 Izumi
작품명Apartment 쥰 (Apartment 鶉, JUN)주요용도집합주택(임대주택, 오너주택, 쇼룸(전시장))소재지도쿄도 토시마구 메지로 (東京都豊島区目白, Tokyoto Toshimaku Mejiro)설계泉幸甫(이즈미 코우스케)설계기
protocooperation.tistory.com
모리야마 주택(森山邸, Moriyama House), 니시자와 류에(西沢立衛 Nishizawa Ryue), 2005 1차답사
작품명 모리야마 주택(森山邸, Moriyama House) 주요용도 전용주택 + 임대주택 소재지 도쿄도 오오타구(東京都大田区,Tokyoto Ootaku) 설계 니시자와 류에(西沢立衛 Nishizawa Ryue) 준공 2005.10. 시공 平成建
protocooperation.tistory.com